맨위로가기

로버트 머더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머더웰은 1915년 워싱턴주 애버딘에서 태어나 1991년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에서 사망한 미국의 화가이다. 캘리포니아에서 성장하며 추상 회화에 대한 애정을 키웠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파리에서 외젠 들라크루아의 글을 연구하며 예술적 기반을 다졌다. 1940년 뉴욕으로 이주하여 초현실주의자들과 교류하며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 참여했고, 멕시코 여행을 통해 자동 기술을 접하며 예술적 영감을 얻었다. 1940년대 중반부터 미국 아방가르드 예술의 선두 주자로 활동하며, 《스페인 공화국에 대한 애가》 연작, 《열림》 연작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데달러스 재단을 설립하여 현대 미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한정판 삽화 작업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니치 빌리지 출신 - 프랭크 오하라
    프랭크 오하라는 미국의 시인, 작가, 큐레이터로, 뉴욕에서 활동하며 자전적인 시를 통해 예술계와 교류했고, 현대미술관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사망했다.
  • 그리니치 빌리지 출신 - 하트 크레인
    20세기 초 미국의 모더니스트 시인 하트 크레인은 브루클린 브리지를 상징적으로 그린 서사시 「다리」를 포함한 시집들과 독특한 은유, 동성애적 정체성, 사회적 소외감을 드러낸 작품들로 유명하지만, 알코올 중독과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다 자살하여 문단에 충격을 주었고 사후에도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추상화가 - 장 아르프
    장 아르프는 프랑스-독일계 예술가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콜라주, 부조, 조각 등의 작품 활동을 했으며, 베네치아 비엔날레 그랑프리 등을 수상했다.
  • 추상화가 - 파울 클레
    파울 클레는 스위스 출신의 화가이자 미술 교육자로, 음악적 배경과 다양한 미술 사조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바우하우스에서 교육 활동을 했으며, 추상과 구상을 넘나드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1991년 사망 - 달머스 라수라라
    달머스 라수라라는 흑인 착취 영화와 TV 미니시리즈 《뿌리》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에도 출연했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1991년 사망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로버트 머더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버트 머더웰, 1940년대경 (잘림)
로버트 머더웰, 1940년대경
본명로버트 번스 머더웰 3세
출생1915년 1월 24일
출생지미국 워싱턴주 애버딘
사망1991년 7월 16일 (향년 76세)
사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
국적미국
직업
분야화가
판화가
교육스탠퍼드 대학교
하버드
컬럼비아 대학교
사조추상 표현주의
배우자헬렌 프랑켄탈러 (1958–1971)
영향 줌

2. 초기 생애와 교육

로버트 머더웰은 워싱턴주 애버딘에서 태어나 샌프란시스코에서 성장했다. 어릴 적 천식을 앓아 태평양 연안에서 주로 자랐으며, 캘리포니아에서 대부분의 학창 시절을 보냈다. 1932년부터 1937년까지 캘리포니아 미술학교(샌프란시스코)에서 잠시 회화를 공부했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여 BA 학위를 받았다.[4] 스탠퍼드에서 모더니즘을 접하고 스테판 말라르메, 제임스 조이스, 에드거 앨런 포, 옥타비오 파스 등 상징주의 및 기타 문학을 광범위하게 읽었는데, 이는 머더웰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후기 회화와 드로잉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5]

20세에 아버지, 여동생과 함께 유럽 그랜드 투어를 떠나 파리를 시작으로 이탈리아 아말피,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런던을 거쳐 스코틀랜드 머더웰에서 여행을 마쳤다.[5]

2. 1. 출생과 가족

로버트 머더웰은 1915년 1월 24일 워싱턴주 애버딘에서 로버트 번스 머더웰 2세와 마가렛 호건 머더웰 사이의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4] 이후 가족은 샌프란시스코로 이사했고, 그의 아버지는 웰스 파고 은행의 사장을 역임했다.[4]

2. 2. 유년 시절과 초기 멘토

로버트 머더웰은 1915년 1월 24일 워싱턴주 애버딘에서 태어나 샌프란시스코에서 성장했다. 어린 시절 매년 여름 워싱턴주 코하셋 비치에서 시간을 보내며 화가이자 미술 교사인 렌스 우드 하트에게서 미술 지도를 받았다.[4] 천식 때문에 캘리포니아주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으며, 캘리포니아의 풍경은 훗날 그의 추상 회화에 나타나는 넓은 공간과 밝은 색채 (울트라마린 블루 하늘과 캘리포니아 언덕의 황토색)에 대한 애정을 키우는 데 영향을 주었다.[4]

2. 3. 하버드 대학교와 파리 유학

아버지의 권유로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하버드에서 아서 온켄 러브조이와 데이비드 프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6] 외젠 들라크루아의 글을 연구하기 위해 파리에서 1년 동안 체류했고, 그곳에서 미국 작곡가 아서 버거를 만났다.[6] 아서 버거는 메이어 샤피로에게 배우기 위해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업을 계속하라고 조언했다.[6] 1939년, 오리건 대학교에서 드로잉 및 회화 교수로 있던 렌스 우드 하트는 머더웰에게 유진으로 와서 한 학기 동안 자신의 수업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7]

3. 뉴욕 화파와 초현실주의자들

1940년대 초 머더웰은 초현실주의의 자동 기술 개념을 도입하여 추상 표현주의 운동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잭슨 폴록, 빌렘 데 쿠닝 등에게 자동 기술 이론을 전파하며 새로운 예술 운동의 기반을 마련했다.[6]

1948년 윌리엄 바지오트, 바넷 뉴먼, 데이비드 헤어, 마크 로스코와 함께 뉴욕에 예술가 학교를 설립, 장 아르프, 존 케이지 등 저명한 예술가들의 강연을 개최했다. 이 학교는 1949년 재정 문제로 문을 닫았지만, 뉴욕 화파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24][25]

같은 해 머더웰은 대표작인 《스페인 공화국에 대한 애가》 연작을 시작했다. 이 연작은 스페인 내전의 비극과 히스패닉 문화의 폭력성을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투우에서 죽은 황소의 생식기를 전시하는 모습에 비유되기도 한다.[2][23]

1950년대 머더웰은 헌터 칼리지와 블랙 마운틴 칼리지에서 회화를 가르치며 사이 톰블리, 로버트 라우센버그, 케네스 놀랜드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다다이즘 관련 서적을 편집, 출판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26] 1954년부터 1958년 사이에는 《Je t'aime》 연작을 제작, 일상 기록을 담은 콜라주 작품을 만들었다. 1958년 추상 화가 헬렌 프랭켄탈러와 결혼하여 "황금 커플"로 불렸다.[28]

3. 1. 뉴욕 이주와 초현실주의와의 만남

1940년 머더웰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하기 위해 뉴욕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마이어 샤피로의 격려를 받아 학문보다는 회화에 전념하게 되었다. 샤피로는 젊은 예술가에게 망명한 파리 초현실주의자 그룹 (막스 에른스트, 마르셀 뒤샹, 앙드레 마송)을 소개했고, 머더웰이 쿠르트 셀리히만에게서 공부할 수 있도록 주선했다. 머더웰이 초현실주의자들과 함께 보낸 시간은 그의 예술적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8]

3. 2. 멕시코 여행과 자동 기술

1941년, 머더웰은 로베르토 마타와 함께 멕시코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배에서 미래의 아내가 될 마리아 에밀리아 페레이라 이 모예로스를 만났다. 멕시코에서 머더웰은 로베르토 마타에게서 자동 기술의 개념을 소개받았다.[11] 이 개념은 머더웰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볼프강 파알렌과의 만남을 통해 더욱 심화되었다.[12] 머더웰은 파알렌과의 협력을 위해 멕시코 체류 기간을 연장했으며, 이는 그의 《멕시코 스케치북》에 시각적으로 반영되었다. 초기 그림은 마타와 이브 탕기의 영향을 받았지만, 파알렌과 함께한 시기의 그림은 평면적인 그래픽 리듬과 세부 사항을 보여준다. 파알렌은 머더웰에게 앙드레 브르통을 소개하기도 했다.[13]

머더웰의 멕시코 여행은 추상 표현주의의 역사와 미학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받는다.[14] 멕시코에서 그린 스케치는 《작은 스페인 감옥》(1941)과 《판초 비야, 죽음과 부활》(1943)과 같은 초기 주요 작품으로 발전했다.[9][10]

3. 3. 추상 표현주의 운동의 시작

1940년대 초, 로버트 머더웰은 자동 기술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창작 원리를 발전시키는 데 시간을 보냈다. 머더웰은 "미국인들은 잠재적으로 천사처럼 그림을 그릴 수 있지만, 창작 원리가 없어 현대 미술을 좋아하는 모든 사람이 그것을 모방하고 있었다"면서, 아실 고르키, 잭슨 폴록, 빌렘 데 쿠닝이 파블로 피카소를 모방한 것을 예로 들었다.[16] 그는 정신 분석적 배경을 바탕으로, 자유 연상이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16]

이 시기에 머더웰은 윌리엄 바지오트와 함께 잭슨 폴록, 빌렘 데 쿠닝, 한스 호프만 등을 만나 새로운 예술 운동을 구상했다. 이들은 페기 구겐하임의 지원 약속을 받고 자동 기술 이론을 중심으로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려 했다. 머더웰은 이들에게 자동 기술 이론을 설명하며, "운동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이 어떤 공통 원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6] 이러한 과정을 통해 머더웰은 추상 표현주의(뉴욕 화파) 운동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4. 초기 전시와 활동

1942년 머더웰은 뉴욕에서 작품을 전시하기 시작했고, 1944년에 페기 구겐하임의 "이번 세기의 예술" 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6] 같은 해 뉴욕 현대 미술관(MoMA)은 그의 작품 중 하나를 최초로 구입한 박물관이 되었다. 1940년대 중반부터 머더웰은 미국 아방가르드 예술의 선두 대변인이 되었다. 윌리엄 바지오트, 데이비드 헤어, 바넷 뉴먼, 마크 로스코 등과 교류했으며, 1948년부터 1949년까지 이들과 함께 예술가 학교를 설립했다.[17]

머더웰은 초현실주의 잡지 《VVV》의 편집 위원이었고, 1942년부터 1944년까지 6개 호로 편집된 볼프강 파알렌의 저널 《DYN》에 기고했다. 또한 1945년 《현대 예술의 문제》의 첫 번째 호로 파알렌의 수집된 에세이 《형태와 감각》을 편집했다.[18]

1948년 머더웰, 윌리엄 바지오트, 바넷 뉴먼, 데이비드 헤어, 마크 로스코는 뉴욕 8번가 35번지에 예술가 학교를 설립했다. 장 아르프, 존 케이지, 아드 라인하르트와 같은 연사들이 강연을 했고,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이 학교는 재정적으로 실패하여 1949년 봄에 문을 닫았다.[24][25]

4. 《스페인 공화국에 대한 애가》 연작

이전 응답에서는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요약만으로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전 응답은 적절한 결과물이 아니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면 지시사항에 맞게 위키텍스트를 작성하여 출력하겠습니다.

5. 중년의 활동

1960년대 머더웰은 미국과 유럽에서 활발하게 전시 활동을 펼쳤으며, 1965년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개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전시는 암스테르담, 런던, 브뤼셀, 에센, 토리노 등 유럽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그의 작품 세계를 널리 알렸다.[26]

1967년 머더웰은 대표작 중 하나인 ''열림'' 연작을 시작했다. 이 연작은 캔버스 위에 제한된 색면과 간결한 선을 사용하여 구성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한 작품으로, 이후 20년 가까이 그의 작품 활동의 중심을 이루었다.[34] 1960년대 후반에는 골루아즈 담배 상자를 재료로 활용한 콜라주 작품을 다수 제작하여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더했다.[35][36][37]

1972년, 머더웰은 예술가이자 사진작가인 레나테 폰솔드와 결혼하여 코네티컷주 그리니치로 이주했다. 그는 13000ft2에 달하는 넓은 부지에 다양한 작업실을 마련하여 회화, 콜라주, 판화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창작 활동에 전념했다.[40] 1970년대에도 뒤셀도르프, 스톡홀름, 빈, 파리, 에든버러, 런던 등 유럽 각지에서 회고전을 개최했다. 1977년에는 워싱턴 D.C.에 있는 국립 미술관의 새로운 별관을 위한 대규모 벽화 제작을 의뢰받았다.

1983년, 뉴욕주 버팔로의 올브라이트-녹스 미술관에서 머더웰의 대규모 회고전이 개최되었다.[41] 이 전시는 1985년까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현대 미술관, 시애틀 미술관, 코코란 미술관,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등 미국의 주요 미술관을 순회했다.[43][44]

1985년, 머더웰은 에드워드 맥도웰 메달을 수상했다.[45] 1988년에는 아리온 프레스와 협력하여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 한정판을 제작하고, 40점의 석판화를 제작했다.[46]

5. 1. 1950년대: 교육 활동과 다양한 작품 활동

1950년대에 머더웰은 뉴욕 헌터 칼리지와 노스캐롤라이나 블랙 마운틴 칼리지에서 회화를 가르쳤다. 그는 사이 톰블리, 로버트 라우센버그, 케네스 놀랜드와 같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1951년에는 《다다 화가와 시인: 선집》을 편집했다.

1954년부터 1958년까지 머더웰은 《Je t'aime》 연작을 제작했다. 이 작품들은 그의 두 번째 결혼이 파경을 맞으면서 느꼈던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그는 콜라주 작업도 활발히 했는데, 골루아즈 담배갑, 라벨 등 일상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자신의 삶을 기록했다.[35][36][37]

5. 2. 헬렌 프랭켄탈러와의 결혼과 "황금 커플"

1958년, 머더웰은 추상 표현주의 화가 헬렌 프랭켄탈러와 결혼하여 "황금 커플"로 불렸다.[29] 이들은 1971년에 이혼했다.[39] 1962년에는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에서 함께 여름을 보내기도 했다.[27]

5. 3. 1960년대: 국제적인 명성과 다양한 연작

1958-59년, 머더웰은 현대 미술관이 기획하여 유럽 전역을 순회한 "새로운 미국 회화" 전시회에 참여했다. 1958년 그는 헬렌 프랭켄탈러와 스페인과 프랑스에서 3개월간의 신혼여행을 보냈고, 그 기간 동안 그녀의 영향으로 새로운 에너지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29] 그 해에 제작한 ''두 인물'' 연작은 그의 작품에 "헬렌의 색채의 밝아지는 힘"을 보여준다.[30]

1960년대 동안 머더웰은 미국과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전시했고, 1965년에는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열었다. 이 전시는 이후 암스테르담, 런던, 브뤼셀, 에센, 토리노로 순회했다.[26] 1962년, 머더웰과 프랭켄탈러는 예술가들의 공동체인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에서 여름을 보냈고, 그곳의 해안선은 그의 작업실 앞에서 파도가 해안에 부딪히는 모습을 묘사한 64점의 유화 연작인 ''바닷가에서'' 연작에 영감을 주었다.[27] 호놀룰루 미술관 소장인 1963년의 무제 유화 작품은 이 시기 작가의 경력을 잘 보여준다.

1964년, 머더웰은 뉴욕주 올버니의 넬슨 A. 록펠러 주지사 엠파이어 스테이트 플라자 예술 컬렉션에 소장된 ''더블린 1916, 검은색과 황갈색 포함''이라는 벽화 크기의 그림을 제작했다. 크기와 내용은 머더웰이 피카소의 ''게르니카''의 전통을 이어받아 영웅주의에 대한 기념비를 만들 의도였음을 시사한다.[31][32]

1965년 머더웰은 알반 베르크의 현악 사중주에서 이름을 따온 ''서정 모음곡''이라는 또 다른 중요한 연작을 작업했다. 머더웰은 "나는 친구 아이에게 장난감을 사주려고 일본 가게에 갔는데, 이 아름다운 일본 종이를 보고 천 장을 샀습니다. 그리고 1965년 4월 초에, 나는 수정 없이 천 장을 다 하겠다고 결심했습니다. 나 자신에게 절대적인 규칙을 정했습니다. 4월과 5월에 600장까지 갔는데, 어느 날 밤 아내와 저녁 식사를 하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습니다. 케네스 놀랜드가 버몬트에서 즉시 오라고 했습니다. 나는 '무슨 일이에요?'라고 물었고, 그는 '데이비드 스미스가 사고를 당했어'라고 말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 조각가 스미스는 머더웰과 프랭켄탈러의 친구였다. 부부는 급히 버몬트로 차를 몰고 갔고, 스미스가 사망한 지 15분 후에 도착했다. 머더웰은 이 연작의 작업을 중단했다. 그는 그것들에 대해 "그리고 1년 뒤에 그것들을 모두 액자에 넣었고, 지금은 그것들을 매우 좋아합니다. 나는 그것들을 반은 내가 칠했고, 반은 저절로 칠해졌다고 말해야 합니다. 나는 콜라주 요소로 가끔 사용하는 것 외에는 쌀 종이를 사용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이 작품들의 대부분은 매우 작은, 그러니까 아주 얇은 선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러고 나서 완성된 후 바닥을 보면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것은 기름 얼룩처럼 퍼져나가 온갖 이상한 차원을 채웠습니다."라고 말했다.[33]

5. 4. 《열림》 연작과 콜라주 작업

1967년 머더웰은 《열림(Open)》 연작을 시작했다. 크고 작은 캔버스가 우연히 나란히 놓인 모습에서 영감을 받은 이 연작은 그 후 20년 가까이 머더웰의 주된 작업이 되었다. 《열림》 연작은 제한된 색면과 최소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느슨하게 그려진 직사각형 윤곽선은 캔버스 표면을 나누고 있다.[34] 이 연작은 머더웰이 절제된 표현 수단을 통해 다양한 조합을 탐구하면서 점차 복잡하고 회화적인 특징을 드러냈다.[34]

1960년대 후반, 머더웰은 콜라주 작업에 골루아즈 담배 갑과 상자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밝은 빨간색 아크릴 물감으로 둘러싸인 담배 상자 연작과, 물감 칠해진 영역에 새겨진 선이 있는 작품들이 이 시기 대표적인 콜라주 작품들이다.[35][36][37]

6. 후기 생애와 유산

머더웰은 1991년 7월 16일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에서 사망했다.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비록 그는 오늘날 과소평가받고 있지만, 내 생각에는 그는 추상표현주의 화가 중 최고 중 한 명이었다"라고 평했다.[47]

데달러스 재단은 1981년 로버트 머더웰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연구, 교육, 출판 및 전시회 지원을 통해 현대 미술과 모더니즘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8] 그는 2500만달러가 넘는 재산과 1,000점 이상의 미술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유언장은 그리니치에서 상속 심판을 위해 제출되었다. 유언 집행인으로는 그의 미망인과 스와스모어 대학교 교수이자 친구인 리처드 루빈이 지명되었다.[49]

1991년 7월 20일, 노먼 메일러와 조엘 마이어로위츠를 포함한 수백 명의 사람들이 프로빈스타운에서 열린 머더웰의 추모식에 참석했다. 스탠리 쿠니츠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를 낭독했으며, 하워드 메첸바움 상원의원 등도 참석했다.[49]

6. 1. 사망과 유산

머더웰은 1991년 7월 16일 매사추세츠주 프로빈스타운에서 사망했다. 클레멘트 그린버그는 "비록 그는 오늘날 과소평가받고 있지만, 내 생각에는 그는 추상표현주의 화가 중 최고 중 한 명이었다"라고 평했다.[47]

1981년 로버트 머더웰은 데달러스 재단을 설립하여 연구, 교육, 출판 및 전시회 지원을 통해 현대 미술과 모더니즘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8] 머더웰이 사망했을 때, 그는 2500만달러가 넘는 재산과 판화를 포함하지 않은 1,000점 이상의 미술 작품을 남겼다. 그의 유언장은 그리니치에서 상속 심판을 위해 제출되었으며, 그의 미망인 레네이트 폰솔드 머더웰과 스와스모어 대학교의 정치학 교수이자 오랜 친구인 리처드 루빈을 유언 집행인으로 지명했다.[49]

1991년 7월 20일, 노먼 메일러와 조엘 마이어로위츠를 포함한 수백 명의 사람들이 프로빈스타운에 있는 그의 집 밖 해변에서 열린 머더웰의 추모식에 참석했다. 스탠리 쿠니츠는 머더웰이 가장 좋아했던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를 낭독했다. 그 외에도 가족, 친구, 다른 예술가, 그리고 머더웰의 지인이었던 하워드 메첸바움 상원의원 등이 참석했다.[49]

7. 주요 전시


  • 1944년, 뉴욕, 페기 구겐하임의 "이 시대의 예술" 갤러리[50]
  • 1957년, 버몬트주, 베닝턴 칼리지[50]
  • 1961년, 프랑스 파리, 갤러리 하인츠 베르그루엔[50]
  • 1962년, 캘리포니아, 파사데나 미술관[50]
  • 1963년, 스미스 칼리지 미술관[50]
  • 1965년, 워싱턴 D.C., 필립스 컬렉션[50]
  • 1965년, 뉴욕, 뉴욕 현대 미술관[50]
  • 1972년-1973년, 텍사스, 휴스턴 미술관 (순회 전시)[50]
  • 1973년,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데이비드 미르비쉬 갤러리[50]
  • 1973년, 뉴저지, 프린스턴 대학교 미술관[50]
  • 1975년, 멕시코 멕시코시티, 멕시코 현대 미술관[50]
  • 1976년, 독일 뒤셀도르프, 슈태티쉐 쿤스트할레[50]
  • 1977년, 프랑스, 파리 시립 현대 미술관[50]
  • 1978년, 잉글랜드 런던, 영국 왕립 미술원[50]
  • 1979년, 코네티컷 대학교, 스토어스, 윌리엄 벤턴 미술관[50]
  • 1980년, 스페인 마드리드, 후안 마르크 재단[50]
  • 1983년, 뉴욕 버팔로, 올브라이트-녹스 미술관 (순회 전시)[50]
  • 1985년,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워커 아트 센터[50]
  • 1991년-1992년, 멕시코 멕시코시티, 루피노 타마요 미술관 (순회 전시)[50]
  • 1996년-1997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안토니 타피에스 재단 (순회 전시)[50]
  • 2004년-2005년, 독일 레버쿠젠, 모르스브로이히 미술관[50]
  • 2011년, 캐나다, 온타리오 미술관[50]

8. 저서


  • 로버트 머더웰, ''다다 화가와 시인들''(The Dada Painters and Poets), R. 머더웰, 뉴욕, 1951.
  • 로버트 머더웰, ''로버트 머더웰의 선집''(The Collected Writings of Robert Motherwell),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99.
  • 폴 시냐크(Paul Signac)의 책, ''외젠 들라크루아에서 신인상주의까지''(D'Eugène Delacroix au néo-impressionisme), 1938을 영어로 번역.
  • H. 하버드 아르나손(H. Harvard Arnason), ''로버트 머더웰''(Robert Motherwell). 뉴욕: 해리 N. 에이브럼스, 1977; 개정판 1982.
  • 머더웰, 로버트, 시리 엥베르그(Siri Engberg)와 조앤 바나크, ''로버트 머더웰: 1940–1991년의 완전한 판화''(Robert Motherwell: The Complete Prints 1940–1991), 미니애폴리스: 워커 아트 센터, 2003.
  • 플램, 잭, ''머더웰''(Motherwell), 런던: 페이돈, 1991
  • 마리카 허스코비치, ''1950년대 미국의 추상 표현주의: 그림으로 보는 개요,'' New York School Press, 2003.
  • 마리카 허스코비치, ''뉴욕 학파 추상 표현주의 작가들의 선택,'' New York School Press, 2000.
  • 로버트 홉스(Robert Hobbs), "로버트 머더웰 회고전," 뒤셀도르프: 슈테디셰 쿤스탈레 뒤셀도르프, 1976.
  • 로버트 홉스, 매튜 콜링스, 멜 구딩 및 로버트 머더웰, ''오픈,'' 런던: 21 Publishing Ltd., 2009.
  • 킹슬리, 에이프릴, ''터닝 포인트: 추상 표현주의와 미국 미술의 변혁''(The Turning Point: The Abstract Expressionists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Art), 뉴욕: 사이먼 & 슈스터, 1992.
  • 플레네, 마르셀랭, ''로버트 머더웰''(Robert Motherwell), 파리: 다니엘 파피에르스키, 1989.

참조

[1] 서적 "The Dada Painters and Poets; an anthology" Wittenborn, Schultz
[2] 서적 The American Art Book https://archive.org/[...] Phaidon
[3] 서적 Robert Motherwell : Open. 21 Publishing
[4] 서적 Robert Motherwell : Open. 21 Publishing
[5] 웹사이트 Oral history interview with Robert Motherwell, 1971 Nov. 24-1974 May 1 - Oral Histories {{pipe}} Archives of American Art, Smithsonian Institution http://www.aaa.si.ed[...] Aaa.si.edu 2011-12-07
[6] 인터뷰 Oral history interview with Robert Motherwell, 1971 Nov. 24-1974 May 1
[7] 논문 "Painters of the Northwest: Impressionism to Modernism, 1900-1930"
[8] 서적 Robert Motherwell : open. 21 Publishing
[9]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The Little Spanish Prison. 1941-44 http://www.moma.org/[...] MoMA 2016-01-15
[10]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Pancho Villa, Dead and Alive. 1943 http://www.moma.org/[...] MoMA 2016-01-16
[11] 서적 'Robert Motherwell on paper : drawings, prints, collages ; [publ. on the occasion of the Exhibition "Robert Motherwell on Paper: Drawings, Prints, Collages" at the Miriam and Ira D. Wallach Art Gallery,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Abrams
[12] 문서 Surrealism in Exile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York School
[13] 서적 Auf Liebe und Tod. Das Leben des Surrealisten Wolfgang Paalen Parthas
[14]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http://www.moma.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3-08
[15] 인용 Robert Motherwell in an interview with Elisabeth T. Langhorne, who wrote to [[Andreas Neufert]], the biographer of Paalen: "I hope that [my book] Jackson Pollock: ''Kunst als Sinnsuche'' helps to rectify the case of Paalen and, as Motherwell put it, the ›conspiracy of silence‹ as to his role in the formation of abstract expressionism." Elisabeth T. Langhorne to Andreas Neufert, June 13th, 2013 cit. [[Andreas Neufert]], ''Auf Liebe und Tod. Das Leben des Surrealisten Wolfgang Paalen'', Berlin (Parthas) 2015, p. 452, note 67.
[16] 웹사이트 Oral history interview with Robert Motherwell, 1971 Nov. 24-1974 May 1 http://www.aaa.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1-03-08
[17] 서적 Robert Motherwell : with pen and brush https://archive.org/[...] Reaktion
[18] 서적 The Writings of Robert Motherwel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웹사이트 Chronology (of Robert Motherwell's life), June 1948 https://www.dedalusf[...] 2020-01-09
[20]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Elegy to the Spanish Republic No. 1 https://www.moma.org[...]
[21] 서적 Motherwell Rizzoli 1991
[22] 웹사이트 Possibilities https://www.ccindex.[...]
[23] 웹사이트 The Collection {{pipe}} Robert Motherwell. Elegy to the Spanish Republic, 108. 1965-67 http://www.moma.org/[...] MoMA 2011-12-07
[24] 웹사이트 Subject of the Artist {{!}} art school https://www.britanni[...] 2020-06-07
[25] 서적 Subjects of the Artist School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6] 웹사이트 Biography http://dedalusfounda[...] The Dedalus Foundation 2011-12-07
[27] 웹사이트 Bernard Jacobson Gallery http://www.jacobsong[...] Jacobsongallery.com 2011-12-07
[28] 웹사이트 In Praise of Messy Lives: Famous Artists who Divorced https://untied.net/f[...] 2013-12-17
[29] 서적 Ninth Street Women Little, Brown
[30] 서적 Fierce Poise Penguin
[31] 서적 The Empire State Collection: Art for the Public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Inc 1987-10-01
[32] 웹사이트 Empire State Plaza Art Collection https://empirestatep[...]
[3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obert Mothwerwell, AGO, 1970 http://www.ago.net/r[...]
[34] 웹사이트 Bernard Jacobson Gallery http://www.jacobsong[...] Jacobsongallery.com 2011-12-07
[35]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 Gauloises Caporal {{pipe}} BEACH http://beachpackagin[...] Beachpackagingdesign.com 2010-12-22
[36]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Gauloises Bleues (White). 1970 http://www.moma.org/[...] MoMA 2010-02-22
[37]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 Gauloises with Scarlet No. 1 (1972) https://www.artsy.ne[...] Artsy
[38]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1984 http://www.architect[...] 2010-05-01
[39] 뉴스 Former Connecticut Estate of the Late Artist Robert Motherwell Sold for $2.5 M. https://www.artnews.[...] ARTnews 2023-11-20
[40] 뉴스 Former Connecticut Estate of the Late Artist Robert Motherwell Sold for $2.5 M. https://www.artnews.[...] ARTnews 2023-11-20
[41] 웹사이트 Finding aid: The Dedalus Foundation's Robert Motherwell Scrapbooks https://www.moma.org[...] 2004-01-01
[42] 웹사이트 Robert Motherwell https://www.guggenhe[...]
[43] 웹사이트 The Homely Protestant https://www.metmuseu[...]
[44] 뉴스 PULLING TOGETHER THE BITS AND PIECES OF MOTHERWELL'S CLASSIC MODERNISM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1985-01-27
[45] 뉴스 MacDowell Medal winners — 1960–2011 https://www.telegrap[...]
[46] 서적 Who Reads Ulysses?: The Common Reader and the Rhetoric of the Joyce Wars. Routledge 2013
[47] 뉴스 Robert Motherwell, Master of Abstract, Dies https://www.nytimes.[...] 1991-07-18
[48] 웹사이트 Dedalus Foundation http://dedalusfounda[...]
[49] 뉴스 Motherwell Estate Is Estimated to Be $25 Milli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1-07-29
[50] 서적 Motherwell Rizzoli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